留言板

尊敬的读者、作者、审稿人, 关于本刊的投稿、审稿、编辑和出版的任何问题, 您可以本页添加留言。我们将尽快给您答复。谢谢您的支持!

姓名
邮箱
手机号码
标题
留言内容
验证码

韩国家长教育参与政策的历史发展过程与特征

李秀广 吴在吉

李秀广, 吴在吉. 韩国家长教育参与政策的历史发展过程与特征[J]. 现代教育论丛, 2022, (1): 26-40.
引用本文: 李秀广, 吴在吉. 韩国家长教育参与政策的历史发展过程与特征[J]. 现代教育论丛, 2022, (1): 26-40.
LEE Soo-kwang, OH Jae-Gil. Historical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Policies in Korea[J]. Journal of Modern Education, 2022, (1): 26-40.
Citation: LEE Soo-kwang, OH Jae-Gil. Historical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Policies in Korea[J]. Journal of Modern Education, 2022, (1): 26-40.

韩国家长教育参与政策的历史发展过程与特征

详细信息
  • 中图分类号: G639

Historical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Policies in Korea

  • 摘要: 本研究的目的是分析韩国家长教育参与政策的历史发展过程与特征。在金泳三政府推动“5.31教育改革”前,家长被视为学校的支持者和志愿者。改革后,家长的社会和法律地位得到改善,开始被认可为教育的权利主体。引入学校管理委员会制度后,家长开始参与学校管理。此外,韩国政府还出台了各种赋权家长的支持政策。然而,这些政策存在如下几个问题:一是学校(教师)和家长之间的“固定关系” (不平衡的权力结构)持续存在;二是政策、规范与环境存在不协调(discord)问题;三是提高教师“协作领导力”的政策力度不够;四是建立双向沟通体制的政策不足;五是家长教育热用作战略资源的政策不足。

     

  • [1] 김태종. 교육열의 경제적 가치에 관한 연구[R]. 교육혁신위원회,2007.
    [2]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8 학부모교육백서[R]. PM2018-73,2018.
    [3] 李鍾珏. 부모・학부모・교육열에 대한 새로운 생각, 새로운 정책[M]. 원미사,2014.
    [4] 조석훈. 학부모 교육권의 내용과 한계[J]. 교육행정학연구, 2006,24(3).
    [5] 동아일보[N], 1981. 06.16.
    [6] 교육개혁위원회.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R]. 대한교과서 주식회사,1995.
    [7] 정수현•박상완.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과 비교평가 연구: 지난 10년간 운영의 성공과 실패 요인의 분석을 중심으로[R]. KRF-2004-044-B00060,2005.
    [8] 이계영. 학부모의 학교 참여 실태 분석과 활성화 방안 모색: 인천광역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D].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2010.
    [9] 류방란•김경애•임후남•이성회•양희준•황지원. 학부모의 학교 참여 실태 및 정책 방안[R]. 서울: 교육개발원,2015.
    [10] 金章中. 학부모정책 및 입법 지원체계 검토[Z]. 미발행원고,2021.
    [11] 정재엽•박형민•황유진. 경기도교육청 학부모정책 수행체계 개선방안 연구. 수원: 경기도교육연구원[R]. 현안보고 2020-03,2020.
    [12] 金承保 外. 학부모 참여 위원회 및 학부모회의 역할 정립 연구[R]. 경기도의회,2019.
    [13] 신정완(2009). 스웨덴의 ‘제3의 길’ 정책의 실패 윈인: ‘정책 부조화’ 문제를 중심으로[J]. 사회경제평론, 2009(32):67-99.
    [14] 吳在吉 外. 학부모 교육주체화 방안 연구[R]. 경기도교육연구원,2016.
    [15] 김봉제(2015). 맞벌이 부모 학교참여 지원 방안 연구[J]. 학부모연구,한국학부모학회.2015, 2(2):1-23.
    [16] 주영효.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정책 분석 및 개선 방안[J]. 교육정치학연구, 2020,27(4). 57-86.
    [17] 양은주.세월호 참사 이후를 위한 『민주주의와 교육』 읽기[C].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년 여름 학술발표회 자료집.2016, 96-116.
    [18] 신샛별. 부모의 자리에 서서[J]. 창작과비평, 2015,168, 32-51.
    [19] 엄기호. 단속사회[M], 창비,2014.
    [20] 장상호. 교육의 정체 혼미와 교육학의 과제[J]. 교육이론, 1990,5(1): 21-64.
    [21] 백병부•이수광. 학교문법 재구성을 통한 학교혁신의 목표와 전략[J]. 교육문화, 2019,25(4). 161-187.
    [22] 강태중. 학교와 교육의 연관과 그 연관에 따르는 긴장: 시론(試論)[J]. 교육원리연구, 2015,20(2), 37~61.
    [23] 목수정. 칼리의 프랑스 학교 이야기[M]. 생각정원,2018.
    [24] 李鍾珏. 교육열을 알아야 한국교육이 보인다[M]. 이담,2011.
    [25] 李秀廣. 교육체제 전환을 제안한다﹒ [J]. 창비어린이,2021,73:25-38.
    [26] 백병부•이수광•박복선. 코로나19 와 교육: 교육체제 전환에 주는 시사점[R]. 경기도교육연구원,2020.
    [27] 이광석. 커먼즈, 다른 삶의 직조를 위하여: ‘피지털’로부터 읽기[J]. 문화/과학,2020, 101.
  • 加载中
计量
  • 文章访问数:  441
  • HTML全文浏览量:  92
  • PDF下载量:  48
  • 被引次数: 0
出版历程
  • 收稿日期:  2021-09-01

目录

    /

    返回文章
    返回