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itation: | LEE Jong-gak. Educational Citizen and Rise of Parentological Studies:Rebranding and Academic Strategies for Parents' Substantive Participation in Education[J]. Journal of Modern Education, 2022, (1): 5-25. | 
 
	                | [1] 김봉제(金峯濟).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학부모 기사 분석[J]. 학부모연구, 2017,4(2):113-146. | 
| [2] 오재길 외(吳在吉 外). 학부모 교육주체화 방안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2016. | 
| [3] Ministry of Education,KEDI. Dynamic Education for Individual and National Development: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R]. World Education Forum,2015.:21-27. | 
| [4] 곽삼근. 학부모의 리더십이 학교를 바꾼다[Z]. 제26차 지역사회교육포럼,2008: 7-28. | 
| [5] 이윤영. 성인남녀 50% “초중고 교육전반 평가 점수는 미”[N/OL].연합뉴스,2016-02-11. | 
|  https://www.yna.co.kr/view/AKR20160205203200004 | 
| [6]박성진, 유근형. 13선거 공약, 승부처는 “교육”… 지자체 이슈 4년 빅데이터 분석[N/OL].동아일보,2018-04-24.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180424/89759934/1. | 
| [7] Honneth A. Kampf um Anerkennung. 문성훈, 이현재 역. 인정투쟁-사회적 갈등의 도덕적 형식론[M]. 서울: 사월의 책,2011. | 
| [8]Cameron D. The Next Age of Government[EB/OL]. (2010-)[J].https://www.ted.com/speakers/david_cameron. | 
| [9] Collins A, Halverson R..2차 교육혁명[M].(황기우 역). 서울: 원미사,2012. (원저 2009년 출간) | 
| [10] 하윤수. 관계적권리에서 본 교권(敎權)의 재검토[J].교육법학연구,2018, 30(2), 185-210. | 
| [11] 윤선진. 학부모 이해: 소비자권력이 된 학부모[J].교육학논총,2010, 31(1):19-43. | 
| [12]김기수 외 (金箕洙 外). 學父母와 公敎育: 學父母 談論의 始作[M]. 파주: 교육과학사,2019:6-7. | 
| [13] 오재길(吳在吉). 학부모의 교육주체성 강화 방안 탐색[J]. 학부모연구, 2017,4(1): 57-74. | 
| [14]이종각(李鍾珏). 학부모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J]. 학부모연구,2014 1(1): 1-20. | 
| [15] 김주후 외(金周厚 外)(2007). 학부모센터 설립 및 운영방안 연구. 대통령자문 교육혁신위원회,2007:80. | 
| [16]박선형. 교육책무성[J]. 교육행정학연구,2013, 31(2):117-150. | 
| [17]朴昭映•신하영. 학부모의 학교 운영 참여를 둘러싼 갈등과 쟁점[J]. 교육정치학연구 ,2019(3): 401-421. | 
| [18] 이종각(李鍾珏). 문화와 교육[M]. 서울: 배영사,1983. | 
| [19] 류방란 외. 학부모의 학교 참여 실태 및 정책 방안[R].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5-01. | 
| [20]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외. 학부모교육백서[R].2018. | 
| [21] 지방교육자치법개정네트워크.일자 성명서(声明书). 2006-11-02. | 
| [22] 최상근 외(崔尙根 外). 학부모지원 중장기 계획 수립을 위한 기본 방향 설정 연구[R].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2009, CR 2009-29. | 
| [23] 이종각(李鍾珏). 부모•학부모•교육열에 대한 새로운 생각, 새로운 정책[M]. 서울: 원미사,2014. | 
| [24] 김신일(金信一). 한국에서 학부모로 살기. 학부모의 재발견: 현상, 잠재력, 의미의 재발견[C]. 2015 한국학부모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2015. | 
| [25] Ripley A. The Smartest Kids in the World. New York: Simon & Schuster, Inc. 김희정 역. 무엇이 이 나라 학생들을 똑똑하게 만드는가[M]. 서울: 부키,2014. | 
| [26] 이종각(李鍾珏). 디카플링 해소와 국가총교육기능의 강화를 위한 미래지향적 공교육개념의 모색[J]. 한국교육,2015, 42(4): 57-85. | 
| [27] 이종각(李鍾珏). 한국 학부모 교육열의 정책적 시사점과 새 연구 방향의 탐색[J]. 한국교육, 2013,40(4): 121-153. | 
| [28] 김태종. 교육열의 경제적 가치 추정을 위한 실증연구[R]. 교육혁신위원회,2007:49. | 
| [29] 송병락. 세계 경제 전쟁, 한국인의 길을 찾아라[M]. 청림출판,2009:313. | 
| [30] 윤지로. 17C 하멜도…21C 오바마도…"높은 교육열이 한국의 힘[N/OL].세계일보,2013-11-25.http://m.segye.com/view/20131124002407. | 
| [31] Thomson K.(1998). Emotional Capital. Capstone Publishing Limited Oxford Centre for Innovation. 이조일, 오승훈 번역. 정서자본[M].2000.  | 
| [32] 강대중. 학부모의 학습생애경로연구: 학부모학회의 한 과제. 한국학부모학회 창립기념세미나자료집[C].2014: 16-19. | 
| [33] 이종각(李鍾珏). 교육미래화를 위한 학부모정책과 공교육 개혁의 방향[J]. 교육정책연구,2017, 1(1): 61-87.  | 
| [34]윤평중. 모든 종류의 지식은 권력의 행사와 맞물려 있다 -미셸 푸코의 교육사상[J]. 교육개발, 1999,여름호:54-59. | 
| [35]김승보 외(金承保 外). 학부모참여 위원회 및 학부모회의 역할정립연구[R]. 경기도의회,2019. | 
| [36]강소연 외. 학부모의 학교참여 현황과 과제[R]. 한국교육개발원,2011. | 
| [37] 교육과학기술부, 인청광역시교육청. 학부모 학교참여 길라잡이(2013년) [R] .2013:119. | 
| [38] Hargreaves A,Shirley D. The Fourth Way. 이찬승, 김은영 역. 학교 교육 제4의 길[M]. 서울: 21세기교육연구소,2015:188. | 
| [39] 김운종. 미래교육을 위한 교직관 적합성 검토[J]. 한국교원교육연구,2009, 26(4): 79-94. | 
| [40] 이종각(李鍾珏). 2차 교육혁명기의 교사-학부모 관계구조 변혁의 과제[J]. 학부모연구,2016, 3(2): 1-2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