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ical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Policies in Korea
-
摘要: 本研究的目的是分析韩国家长教育参与政策的历史发展过程与特征。在金泳三政府推动“5.31教育改革”前,家长被视为学校的支持者和志愿者。改革后,家长的社会和法律地位得到改善,开始被认可为教育的权利主体。引入学校管理委员会制度后,家长开始参与学校管理。此外,韩国政府还出台了各种赋权家长的支持政策。然而,这些政策存在如下几个问题:一是学校(教师)和家长之间的“固定关系” (不平衡的权力结构)持续存在;二是政策、规范与环境存在不协调(discord)问题;三是提高教师“协作领导力”的政策力度不够;四是建立双向沟通体制的政策不足;五是家长教育热用作战略资源的政策不足。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istorical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Policies in Korea.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After the " 5. 31 Education Reforms" promoted by the Kim Young- sam government, the social and legal status of parents in education has been improved. Before the " 5. 31 Education Reforms", parents were recognized as supporters and volunteers in school. Through the " 5. 31 Education Reforms", however, parents began to be recognized as educational sovereigns. With the School Governing Board being introduced, parents could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of school management. In addition, various support policies for parental empowerment were introduced. However, there needs to be some improvement of these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Policies. First, the unequal relationship fixation caused by unbalanced power structure between school staffs including teachers and parents has persisted. Second, "Policy-Environment discord" and " Normative Policy discord" have been generated. Third, policies for improving the Collaborative Leadership of teachers are not established enough. Fourth, the policy to establish mutual communication system between parents and school is insufficient. Lastly, policies that take advantage of parent enthusiasm for education as a strategic asset are not sufficient. For post-Covid-19 era, a newly revised social deal on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Korea. In the new deal on education, Parental Educational Involvement Policies are needed to be more progressive and democratic.
-
[1] 김태종. 교육열의 경제적 가치에 관한 연구[R]. 교육혁신위원회,2007. [2]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18 학부모교육백서[R]. PM2018-73,2018. [3] 李鍾珏. 부모・학부모・교육열에 대한 새로운 생각, 새로운 정책[M]. 원미사,2014. [4] 조석훈. 학부모 교육권의 내용과 한계[J]. 교육행정학연구, 2006,24(3). [5] 동아일보[N], 1981. 06.16. [6] 교육개혁위원회.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R]. 대한교과서 주식회사,1995. [7] 정수현•박상완. 학교운영위원회의 성과 비교평가 연구: 지난 10년간 운영의 성공과 실패 요인의 분석을 중심으로[R]. KRF-2004-044-B00060,2005. [8] 이계영. 학부모의 학교 참여 실태 분석과 활성화 방안 모색: 인천광역시 고등학교를 중심으로[D].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석사학위 논문,2010. [9] 류방란•김경애•임후남•이성회•양희준•황지원. 학부모의 학교 참여 실태 및 정책 방안[R]. 서울: 교육개발원,2015. [10] 金章中. 학부모정책 및 입법 지원체계 검토[Z]. 미발행원고,2021. [11] 정재엽•박형민•황유진. 경기도교육청 학부모정책 수행체계 개선방안 연구. 수원: 경기도교육연구원[R]. 현안보고 2020-03,2020. [12] 金承保 外. 학부모 참여 위원회 및 학부모회의 역할 정립 연구[R]. 경기도의회,2019. [13] 신정완(2009). 스웨덴의 ‘제3의 길’ 정책의 실패 윈인: ‘정책 부조화’ 문제를 중심으로[J]. 사회경제평론, 2009(32):67-99. [14] 吳在吉 外. 학부모 교육주체화 방안 연구[R]. 경기도교육연구원,2016. [15] 김봉제(2015). 맞벌이 부모 학교참여 지원 방안 연구[J]. 학부모연구,한국학부모학회.2015, 2(2):1-23. [16] 주영효.학부모 학교교육 참여 정책 분석 및 개선 방안[J]. 교육정치학연구, 2020,27(4). 57-86. [17] 양은주.세월호 참사 이후를 위한 『민주주의와 교육』 읽기[C].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년 여름 학술발표회 자료집.2016, 96-116. [18] 신샛별. 부모의 자리에 서서[J]. 창작과비평, 2015,168, 32-51. [19] 엄기호. 단속사회[M], 창비,2014. [20] 장상호. 교육의 정체 혼미와 교육학의 과제[J]. 교육이론, 1990,5(1): 21-64. [21] 백병부•이수광. 학교문법 재구성을 통한 학교혁신의 목표와 전략[J]. 교육문화, 2019,25(4). 161-187. [22] 강태중. 학교와 교육의 연관과 그 연관에 따르는 긴장: 시론(試論)[J]. 교육원리연구, 2015,20(2), 37~61. [23] 목수정. 칼리의 프랑스 학교 이야기[M]. 생각정원,2018. [24] 李鍾珏. 교육열을 알아야 한국교육이 보인다[M]. 이담,2011. [25] 李秀廣. 교육체제 전환을 제안한다﹒ [J]. 창비어린이,2021,73:25-38. [26] 백병부•이수광•박복선. 코로나19 와 교육: 교육체제 전환에 주는 시사점[R]. 경기도교육연구원,2020. [27] 이광석. 커먼즈, 다른 삶의 직조를 위하여: ‘피지털’로부터 읽기[J]. 문화/과학,2020, 101.
点击查看大图
计量
- 文章访问数: 475
- HTML全文浏览量: 101
- PDF下载量: 48
- 被引次数: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