留言板

尊敬的读者、作者、审稿人, 关于本刊的投稿、审稿、编辑和出版的任何问题, 您可以本页添加留言。我们将尽快给您答复。谢谢您的支持!

姓名
邮箱
手机号码
标题
留言内容
验证码

教育公民和家长教育学的兴起:家长实质性教育参与的形象重塑与学术策略

李锺珏

李锺珏. 教育公民和家长教育学的兴起:家长实质性教育参与的形象重塑与学术策略[J]. 现代教育论丛, 2022, (1): 5-25.
引用本文: 李锺珏. 教育公民和家长教育学的兴起:家长实质性教育参与的形象重塑与学术策略[J]. 现代教育论丛, 2022, (1): 5-25.
LEE Jong-gak. Educational Citizen and Rise of Parentological Studies:Rebranding and Academic Strategies for Parents' Substantive Participation in Education[J]. Journal of Modern Education, 2022, (1): 5-25.
Citation: LEE Jong-gak. Educational Citizen and Rise of Parentological Studies:Rebranding and Academic Strategies for Parents' Substantive Participation in Education[J]. Journal of Modern Education, 2022, (1): 5-25.

教育公民和家长教育学的兴起:家长实质性教育参与的形象重塑与学术策略

详细信息
  • 中图分类号: G616

Educational Citizen and Rise of Parentological Studies:Rebranding and Academic Strategies for Parents' Substantive Participation in Education

  • 摘要: 本研究探讨了政府多方推进家长教育参与政策却不能收到实效的深层原因和应对策略。首先梳理了家长的“教育民心”及其不被重视的现状,特别是确认了忽视家长意见和作用的社会心理的存在。家长因缺乏存在感导致产生连锁效应:不被重视,进而难以发声,即使发声也少被倾听。这种连锁关系是阻碍家长难以平等、有效参与教育的深层原因。打破这一深层关系的关键是确立家长的存在感。为了夯实家长作为教育主体的存在感,抵制敌视家长的文化和争取社会认可成为重要课题。其次,就课题攻克方案,提出形象重塑与学术策略。形象重塑提出“教育公民”新形象以替换问题重生的“社会家长”方案。学术策略则厘清了家长的三种身份,旨在理论层面支持家长的教育主体性和教育参与。学术策略由三部分组成:其一,从新的角度对家长进行提问并正确认识家长;其二,从家长的立场看教育;其三,抵制敌视家长的文化。学术策略不仅涉及家长,而且有其广泛的教育学意义。政府和教育界应该以对待教师素养的问题意识对待家长的素养问题。有必要从国家层面出台“教育热”经营战略,使政府和教育界具备助推的视角和能力去挖掘家长的教育热能量。学术策略旨在通过研究促进国家、教师和家长三者之间知识与权力的均衡发展,建立一种共生关系。建立三方共生关系是建立教育民主的关键,同时也是教育可持续发展的新途径。教师教育的课程内容应该包含正确认识家长,使准教师积极接受家长教育参与,建立服务教育公民的专业职业文化。应当将当前“活跃”的家长教育参与政策取向转换为“先正常化”再“活跃”的发展路径。

     

  • [1] 김봉제(金峯濟).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학부모 기사 분석[J]. 학부모연구, 2017,4(2):113-146.
    [2] 오재길 외(吳在吉 外). 학부모 교육주체화 방안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2016.
    [3] Ministry of Education,KEDI. Dynamic Education for Individual and National Development: The Case of the Republic of Korea[R]. World Education Forum,2015.:21-27.
    [4] 곽삼근. 학부모의 리더십이 학교를 바꾼다[Z]. 제26차 지역사회교육포럼,2008: 7-28.
    [5] 이윤영. 성인남녀 50% “초중고 교육전반 평가 점수는 미”[N/OL].연합뉴스,2016-02-11.
    https://www.yna.co.kr/view/AKR20160205203200004
    [6]박성진, 유근형. 13선거 공약, 승부처는 “교육”… 지자체 이슈 4년 빅데이터 분석[N/OL].동아일보,2018-04-24.https://www.donga.com/news/Politics/article/all/20180424/89759934/1.
    [7] Honneth A. Kampf um Anerkennung. 문성훈, 이현재 역. 인정투쟁-사회적 갈등의 도덕적 형식론[M]. 서울: 사월의 책,2011.
    [8]Cameron D. The Next Age of Government[EB/OL]. (2010-)[J].https://www.ted.com/speakers/david_cameron.
    [9] Collins A, Halverson R..2차 교육혁명[M].(황기우 역). 서울: 원미사,2012. (원저 2009년 출간)
    [10] 하윤수. 관계적권리에서 본 교권(敎權)의 재검토[J].교육법학연구,2018, 30(2), 185-210.
    [11] 윤선진. 학부모 이해: 소비자권력이 된 학부모[J].교육학논총,2010, 31(1):19-43.
    [12]김기수 외 (金箕洙 外). 學父母와 公敎育: 學父母 談論의 始作[M]. 파주: 교육과학사,2019:6-7.
    [13] 오재길(吳在吉). 학부모의 교육주체성 강화 방안 탐색[J]. 학부모연구, 2017,4(1): 57-74.
    [14]이종각(李鍾珏). 학부모 연구의 필요성과 의의[J]. 학부모연구,2014 1(1): 1-20.
    [15] 김주후 외(金周厚 外)(2007). 학부모센터 설립 및 운영방안 연구. 대통령자문 교육혁신위원회,2007:80.
    [16]박선형. 교육책무성[J]. 교육행정학연구,2013, 31(2):117-150.
    [17]朴昭映•신하영. 학부모의 학교 운영 참여를 둘러싼 갈등과 쟁점[J]. 교육정치학연구 ,2019(3): 401-421.
    [18] 이종각(李鍾珏). 문화와 교육[M]. 서울: 배영사,1983.
    [19] 류방란 외. 학부모의 학교 참여 실태 및 정책 방안[R].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15-01.
    [20] 국가평생교육진흥원 외. 학부모교육백서[R].2018.
    [21] 지방교육자치법개정네트워크.일자 성명서(声明书). 2006-11-02.
    [22] 최상근 외(崔尙根 外). 학부모지원 중장기 계획 수립을 위한 기본 방향 설정 연구[R].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2009, CR 2009-29.
    [23] 이종각(李鍾珏). 부모•학부모•교육열에 대한 새로운 생각, 새로운 정책[M]. 서울: 원미사,2014.
    [24] 김신일(金信一). 한국에서 학부모로 살기. 학부모의 재발견: 현상, 잠재력, 의미의 재발견[C]. 2015 한국학부모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2015.
    [25] Ripley A. The Smartest Kids in the World. New York: Simon & Schuster, Inc. 김희정 역. 무엇이 이 나라 학생들을 똑똑하게 만드는가[M]. 서울: 부키,2014.
    [26] 이종각(李鍾珏). 디카플링 해소와 국가총교육기능의 강화를 위한 미래지향적 공교육개념의 모색[J]. 한국교육,2015, 42(4): 57-85.
    [27] 이종각(李鍾珏). 한국 학부모 교육열의 정책적 시사점과 새 연구 방향의 탐색[J]. 한국교육, 2013,40(4): 121-153.
    [28] 김태종. 교육열의 경제적 가치 추정을 위한 실증연구[R]. 교육혁신위원회,2007:49.
    [29] 송병락. 세계 경제 전쟁, 한국인의 길을 찾아라[M]. 청림출판,2009:313.
    [30] 윤지로. 17C 하멜도…21C 오바마도…"높은 교육열이 한국의 힘[N/OL].세계일보,2013-11-25.http://m.segye.com/view/20131124002407.
    [31] Thomson K.(1998). Emotional Capital. Capstone Publishing Limited Oxford Centre for Innovation. 이조일, 오승훈 번역. 정서자본[M].2000.
    [32] 강대중. 학부모의 학습생애경로연구: 학부모학회의 한 과제. 한국학부모학회 창립기념세미나자료집[C].2014: 16-19.
    [33] 이종각(李鍾珏). 교육미래화를 위한 학부모정책과 공교육 개혁의 방향[J]. 교육정책연구,2017, 1(1): 61-87.
    [34]윤평중. 모든 종류의 지식은 권력의 행사와 맞물려 있다 -미셸 푸코의 교육사상[J]. 교육개발, 1999,여름호:54-59.
    [35]김승보 외(金承保 外). 학부모참여 위원회 및 학부모회의 역할정립연구[R]. 경기도의회,2019.
    [36]강소연 외. 학부모의 학교참여 현황과 과제[R]. 한국교육개발원,2011.
    [37] 교육과학기술부, 인청광역시교육청. 학부모 학교참여 길라잡이(2013년) [R] .2013:119.
    [38] Hargreaves A,Shirley D. The Fourth Way. 이찬승, 김은영 역. 학교 교육 제4의 길[M]. 서울: 21세기교육연구소,2015:188.
    [39] 김운종. 미래교육을 위한 교직관 적합성 검토[J]. 한국교원교육연구,2009, 26(4): 79-94.
    [40] 이종각(李鍾珏). 2차 교육혁명기의 교사-학부모 관계구조 변혁의 과제[J]. 학부모연구,2016, 3(2): 1-22.
  • 加载中
计量
  • 文章访问数:  435
  • HTML全文浏览量:  64
  • PDF下载量:  54
  • 被引次数: 0
出版历程
  • 收稿日期:  2021-10-12

目录

    /

    返回文章
    返回